솔루션

편리하고 정확한 공장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스마트공장 MES ERP

스마트공장

Smart Factory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사업



중소 · 중견 기업 제조 현장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구축 · 고도화 및 유지 관리 등에 대한 비용을 정부에서 지원하여
기업의 제조 혁신 경쟁력 향상 도모

* 아래 표는 2022년 기준으로 작성된 표 입니다.

사업명 지원유형 지원조건 정부지원액
(기업당,최대)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신규 구축 기초 수준 이상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향상 없이 재신청하는 경우 지원유형 '기초'에 해당
*생산정보 디지털화(ex, 바코드·RFID 적용)
5,000만원
고도화 1 중간1 수준 이상 스마트공장 구축
* 생산정보 실시간 수집분석
2억원
고도화 2 중간2 수준 이상 스마트공장 구축
* 생산공정 실시간 제어
4억원
대중소
상생형
신규구축
주관기관(대기업 등)이 중소·중견
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정보가 비용 일부 지원
0.42억원
대중형
상생형
고도화
1.2억원

스마트공장 구축 단계

1. 사업공고 2. 신청접수 및 요건검토 3. 현장평가 4. 선정심의
중소벤처기업부 도입기업, 제조혁신센터(TP) 제조혁신센터(TP)(평가위원) 지방 중소벤처기업청·제조혁신센터(TP)
5. 코디네이터 매칭 6. 사업계획 작성
(공급기업 제안서 평가)
7.사업계획 심의
(원가계산 포함)
8.협약 및 사업착수
도입 기업, 제조혁신센터(TP) 도입기업, 코디네이터 제조혁신센터(TP) 전담기관, 제조혁신센터(TP), 도입·공급기업
9. 중간·수시점검 10. 최종감리
(수준확인 포함)
11. 최종점검 12. 완료보고 (성공·실패 판정)
제조혁신센터(TP)(평가위원) 전문감리기관 제조혁신센터(TP)평가위원) 도입·공급기업, 제조혁신센터(TP)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

수준 정의 표준 IOT 대상 특성 조건(구축 수준) 주요 도구
LEVEL 5 자율 운영 작업자, 설비, 자재, 운전조건+환경 맞춤 및 자율 모니터링부터 제어,
최적화까지 자율로 진행
인공지능,
AR/VR, CPS등
LEVEL 4 최적화 작업자, 설비 최적화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전 대응 가능
센서 제어기
최적화 도구
LEVEL 3 제어 작업자, 설비, 자재 분석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 기능 센서+
분석도구
LEVEL 2 모니터링 작업자, 설비, 자재 측정 생산정보의 모니터링이 실시간 가능함 센서
LEVEL 1 점검 자재 식별 부분적 표준화 및 데이터 관리 바코드
RFID